[복지정보] 청각장애인 위한 수어통역, 가장 필요한 곳 ‘의료기관’
페이지 정보
본문
청각장애인 위한 수어통역, 가장 필요한 곳 ‘의료기관’
청각장애인들은 수어 통역이 가장 필요한 곳으로 의료기관을 꼽았다. 또한 한국수어 보존과 발전을 위해 수어교원 양성과 수어 교육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은 지난 3일 농아인의 날을 맞아 ‘2023년 한국수어 활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한국수어 사용 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립국어원이 통계청에 의뢰해 실시했다.
조사는 17개 시·도 만 20세 이상 청각장애인 5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8월 30일!9월 8일까지 조사원에 의한 면접 조사로 진행됐다.
한국수어 활용 조사는 수어 동영상으로 설문 내용을 제작하고 수어통역사와 농인 조사원이 조사를 수행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수어 사용 실태, 한국수어에 대한 인식, 농문화 인식 정도, 농정체성 측정 등 크게 4가지 분야로 나눠 조사했다.
청각장애인 30% 이상 한국수어 사용… 수어통역 서비스 가장 필요한 곳 ‘의료기관’
조사 대상자인 만 20세 이상의 장애 정도가 심한 청각장애인 중 30.1%가 수어를 주된 의사소통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어를 처음 접한 시기는 만 7세~12세가 41.3%로 가장 높았고, 수어를 주로 가르쳐 준 사람은 농인 친구가 32.4%로 가장 높았다.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이 수어통역 서비스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은 의료기관이 83.0%로 가장 높았으며,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의 92.5%는 병원에서 가장 원하는 의사소통 지원으로 수어가 가능한 직원 배치를 꼽았다.
교육과 관련해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 65.6%가 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으로 수어를 꼽았으며, 학교에서 의사소통하길 원하는 의사소통 방법 역시 수어가 84.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 가장 바라는 것도 수어로 수업이 가능한 농인 교사 배치가 82.5%로 가장 높았다.
수어 사용자 90.8%가 한국수어를 ‘농인의 언어’로 인식… “수어교원 양성과 교육 활성화 필요”
농인이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언어를 묻는 질문에는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 90.8%가 한국수어라고 응답했다. 한글(문자언어) 3.5%, 한국어(음성언어) 0.5%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어를 보존·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수어교원 양성과 수어 교육 활성화가 56%로 가장 높았다.
농문화와 농정체성에 대해서는 5점 척도(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로 인식 정도를 측정했다.
농문화 인식 정도와 관련해서는 ‘농학교의 교육은 수어와 농문화 습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와 ‘보통이다’가 각각 30.3%로 나타났다.
농정체성 측정과 관련해서는 ‘농인은 수어를 사용해야 한다’라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가 33.2%로 가장 높았고, ‘한국수어와 한국어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 다른 언어이다’라는 질문에는 ‘그렇다’가 33.2%로 가장 높았으며, ‘매우 그렇다’도 30.2%로 나타났다.
국립국어원은 “이번 조사에 대한 심층 분석은 올해 추가로 진행될 예정이며 그 결과는 이후 한국수어 정책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활용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출처 : 웰페어뉴스(http://www.welfarenews.net) 정두리 기자
청각장애인 위한 수어통역, 가장 필요한 곳 ‘의료기관’ < 장애인 < 기사본문 - 웰페어뉴스 (welfarenews.net)
- 입력일 : 2024.06.04 15:33
- 이전글[복지정보] 중앙사회서비스원, 사회서비스 품질인증제 시범사업 실시 24.06.12
- 다음글[복지정보] 방통위, 시각·청각장애인용 맞춤형 TV 접수 24.06.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