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보] 2025년 새롭게 달라진 장애인정책 총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복지부 주요 장애인 정책 정리
-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대상은 13만2715명이며, 가산급여 지원시간은 205시간으로 확대됐다.
서비스 단가 또한 2.9%(470원) 인상한 1만6620원으로 책정했다.
- 장애아동을 위한 발달재활서비스 지원도 10만4000명으로 1만8000명 늘어나고, 중증장애아동 돌봄서비스 단가도 1만4140원으로 올해보다 2000원 인상했다.
- 장애인 개인예산제 시범사업은 17개 지역으로 전국 확대되고, 활동지원 서비스 외 다른 장애인지원 서비스까지 통합하는 신규모델을 시범적용한다.
- 소득보장 강화를 위해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또한 34만3510원으로 2.6% 인상하고, 장애인 일자리는 33만 5000개로 늘어났다.
- 최중증 장애인 대상 의료집중형 거주시설도 시범 도입한다. 기존시설에 개소당 2명의 간호사를 추가 배치하고 의료장비를 보강하는 등 24시간 의료지원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 또한 도전적 행동 등 응급상황 지원을 위한 최중증 전담 발달장애인 긴급돌봄센터를 2개소 신설키로 했다.
※자세한 내용은 오른쪽 출처를 통해 기사 원문을 확인해주세요.(에이블뉴스) ☞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939
※붙임파일 참고 2025년 이렇게 달라집니다(기획재정부)
첨부파일
-
2025년부터 이렇게달라집니다기획재정부.pdf (15.8M)
6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1-23 11:57:18
- 이전글[복지정보] 2025년 예산안 수혜자별 민생사업-기획재정부 25.02.02
- 다음글[복지정보] 장애인공단, 2024년 장애인 직무개발 13건 담은 우수사례집 발간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