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만여 명 장애인이 행복한 광주 위해 소임에 최선"
페이지 정보
본문
"장애인이 행복해야 비로소 광주가 행복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직책수행 한 달 여를 맞은 김남주 광주시 장애인복지과장이 시에 살고 있는 장애인과 그들의 보호자들에게 전하는 말이다.
복지 체계가 당사자와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소통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
김 과장은 설 연휴를 앞둔 지난 19일 오전 진행된 인터뷰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독립된 인격체로 소외당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도록 장애인복지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것이 자신의 바람이자 역할이라고 말했다.
김 과장은 "지난해 10월 기준 광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이 7만여 명에 달한다. 이들 모두 함께 살아가야 할 광주시민이다"라며 장애인복지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는 2026년까지 4년간 시행할 예정인 '제2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의 방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촘촘한 생애주기별 장애인 복지서비스를 설계해 '삶에 행복을 잇는 장애인친화도시 광주'라는 비전대로 맞춤형 복지를 위한 단계별 계획과 당사자가 공감하고 체감하는 지원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 5대 중점 전략인 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조성, 안전하고 차별 없는 인권친화 공동체 조성, 문화·교육·체육 기반 구축, 사회참여 활성화, 장애유형별 지역사회 지원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16개 과제와 45개 세부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장애인들의 돌봄과 복지사각지대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정부 정책에 발맞춘 생활·돌봄·자립·이동·건강지원의 5대 지원책을 손꼽았다.
김 과장은 "올해부터 달라지는 장애인복지 제도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예산 확보를 비롯한 사전 준비를 철저하게 했다"고 덧붙였다.
생활지원으로는 장애수당과 기초연금, 부가연금을 인상했다. 돌봄지원으로는 노인장기요양보호법에 따라 장기 요양 서비스를 이용 중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활동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대상자를 확대했으며, 발달장애인 부모가족지원 사업 대상자도 기존 24명에서 56명으로 늘렸다.
또 자립지원을 위해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소득 보장을 위한 일자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장애인의 접근성과 이동권 확보를 위해 지역 내 장애인 편의시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펼치고, 건강지원을 위해 장애인기금을 활용해 장애인의 문화예술과 여가활동을 지원할 방침이다.
김 과장은 "우리 지역의 장애인들이 변화하는 복지 체계 흐름에 맞춰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감을 느끼고 능력을 개발해 적극적으로 사회 활동에 참여하면서 사회발전의 주역이 되길 바란다"며 "광주시도 장애인의 삶의 품질 향상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서지연·기혜진·김하민·한서정 광주서구장애인복지관 발달장애기자단
정리=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이전글광주서구장애인복지관, 설맞이 행사 성료 23.01.26
- 다음글광주서구장애인복지관, 2023년 장애학생 겨울방학학교 진행 23.01.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